해양사업
연구개발

2020년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과제명 : SWIR, 전자 타겟팅 및 하이브리드 자세 안정화 기술이 적용된 해양경찰용 차세대 해상용 감시시스템 개발
– 자이로 동요 안정 센서 플랫폼에 고화질 주간 카메라와 단파 적외선 카메라(SWIR), 냉각방식 열화상 카메라를통 합하여 주야간 작전이 가능한 EOTS
– 주간은 물론 안개 발생, 야간 및 무중 등 시계가 제한된 상황에서의 항해, 탐색, 추적 또는 수색 구조 등 안정적인 시정 확보가 필요할 때 탁월한 성능을 발휘 하는 이미징 기기
– 선정한 목표물을 자동 추적하고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사격 통제 시스템이 목표물을 정확히 조준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 제공
– 조타실에서 전용 컨트롤러로 조종이 가능하고 기타 다른 위치에서도 IP네트워크를 통해 감시와 조작이 가능하여 원격 작전 수행 기능을 제공, DGPS, 레이더, AIS 등의 선박 설치 장치와 연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장비에서 제공된 목표물을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기능을 제공

2020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해안가 미세플라스틱 수거장비 기술 개발
해변 모래에 분포하고 있는 1mm~5mm의 미세플라스틱을 수거하기 위한 장비 기술개발로 해변의 넓은 지역을 배터리를 이용한 친환경 자가이동하여 수거하는 이동형 수거장비, 이동형 수거장비가 회수하기 힘든 지역의 미세플라스틱을 회수하기 위한 휴대형 수거장비로 구성되며, 정전기 발생 및 사이클론 방식을 적용하여 미세플라스틱을 수거하는 기술개발

2020년 골든타임 사수를 위한 수색구조 기술개발사업개발2020년 골든타임 사수를 위한 수색구조 기술개발사업개발
과제명 : 찰정 원격시동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상황 발생 시 상시 출동 가능한 상황을 위해 순찰정과 파출소간의 하이브리드 통신 기반의 원격 시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엔진을 출동전 예열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예열시스템은 순찰 중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여 정박 시 회수된 폐열로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이러한 모든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관제 PC 및 스마트폰 앱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개발상황 발생 시 상시 출동 가능한 상황을 위해 순찰정과 파출소간의 하이브리드 통신 기반의 원격 시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엔진을 출동전 예열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예열시스템은 순찰 중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여 정박 시 회수된 폐열로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이러한 모든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관제 PC 및 스마트폰 앱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개발

2019년 한러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AI와 e-Navigation 기반의 차세대 글로벌 3D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개발
– 국내에서 개발된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이 해외 VTS 시스템 기술과 융합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적 확장 뿐 만 아니라 성능 및 품질적인 면에서도 해외 기술과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국내에서 개발된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이 해외 VTS 시스템 기술과 융합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적 확장 뿐 만 아니라 성능 및 품질적인 면에서도 해외 기술과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국내에서 개발된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이 해외 VTS 시스템 기술과 융합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적 확장 뿐 만 아니라 성능 및 품질적인 면에서도 해외 기술과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국내에서 개발된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이 해외 VTS 시스템 기술과 융합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적 확장 뿐 만 아니라 성능 및 품질적인 면에서도 해외 기술과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 e-Navigation 과 해상교통관제 시스템과의 연동 기술의 경우, 국내 타 업체에 비해 기술 선점이 가능한 부분이며, e-Navigation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시장 확대가 예상됨– e-Navigation 과 해상교통관제 시스템과의 연동 기술의 경우, 국내 타 업체에 비해 기술 선점이 가능한 부분이며, e-Navigation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시장 확대가 예상됨
– 3D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의 경우 관제 대상 선박의 크기를 3D로 유추하여 가시화하는 기술을 통해 해상 안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3D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의 경우 관제 대상 선박의 크기를 3D로 유추하여 가시화하는 기술을 통해 해상 안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e-Navigation 연동 기술과 3D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기술은 융합된 최종 제품을 통해 러시아로 진출 할 수 있는 국산 해양 ICT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e-Navigation 연동 기술과 3D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기술은 융합된 최종 제품을 통해 러시아로 진출 할 수 있는 국산 해양 ICT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2018년 기술혁신개발사업 혁신형기업기술개발
무인 운용 기술이 적용된 4인승 반 잠수식 레저보트 개발과제명 : 무인 운용 기술이 적용된 4인승 반 잠수식 레저보트 개발
잠수&점프 기능 및 최첨단 ICT 기술 접목한국형 레저보트 프로토타입 개발잠수&점프 기능 및 최첨단 ICT 기술 접목한국형 레저보트 프로토타입 개발

2017년 해양안전 및 해양교통시설 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극항로 운항선박용 항해안전지원시스템 개발
기상 빙상 DB개발북극항로 운항선박용 항해안전지원시스템 서버 개발안전 운항지원시스템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 개발기상 빙상 DB개발북극항로 운항선박용 항해안전지원시스템 서버 개발안전 운항지원시스템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 개발

2016년 해양안전 및 해양교통시설 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개발
전자해도 기반의 안전항로 지원S/W 개발을 위한 윈도우 및 모바일 OS 기반 S/W 설계 환경 구축윈도우용 전자해도 기반 최적 안전항로 제공 오픈 S/W 프로토타입 개발전자해도 기반의 안전항로 지원S/W 개발을 위한 윈도우 및 모바일 OS 기반 S/W 설계 환경 구축윈도우용 전자해도 기반 최적 안전항로 제공 오픈 S/W 프로토타입 개발

2015년 해양레저장비 기술개발지원사업
과제명 : CPS(Cyber Physical System) 기반의 4D 세일링 요트 시뮬레이터 개발
세일링 요트 조종 미숙한 일반인 대상 육상에서 조종 교습 및 실습 모의운항이 가능한 장치로, 기초적인 세일링 요트 운항능력 확보를 위한 조종교습용 시뮬레이션 장치 개발면허소지자 및 요트 조종 능력 중급자용 세일링 요트 조종 숙련도 해상교통질서 및 수상안전교육을 위한 실해상 환경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 장치 개발체험용 딩기 요트 시뮬레이터 개발세일링 요트 조종 미숙한 일반인 대상 육상에서 조종 교습 및 실습 모의운항이 가능한 장치로, 기초적인 세일링 요트 운항능력 확보를 위한 조종교습용 시뮬레이션 장치 개발면허소지자 및 요트 조종 능력 중급자용 세일링 요트 조종 숙련도 해상교통질서 및 수상안전교육을 위한 실해상 환경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 장치 개발체험용 딩기 요트 시뮬레이터 개발

2014년 에너지 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천해용 해저케이블 동시매설기 개발
해저케이블 매설기의 모니터링 하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해저케이블 매설기의 컨트롤 시스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포설선 상의 통합 모니터링&컨트롤 콘솔 개발센서 선정 및 센서 통합기술 개발해저케이블 매설기의 모니터링 하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해저케이블 매설기의 컨트롤 시스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포설선 상의 통합 모니터링&컨트롤 콘솔 개발센서 선정 및 센서 통합기술 개발

2013년 미래해양 산업기술개발사업
과제명 : 클라우드 기반의 항해 지원 시스템 개발
모선 및 자선에 설치되어 모선의 고성능 레이더 및 AIS 정보를 자선 전송, 화면 표시 기술 개발VTS 센터 소형 선박 레이더 및 AIS 정보를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 개발모선 및 자선에 설치되어 모선의 고성능 레이더 및 AIS 정보를 자선 전송, 화면 표시 기술 개발VTS 센터 소형 선박 레이더 및 AIS 정보를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 개발

2013년 해양장비 개발 및 인프라 구축사업
과제명 : 해양 음향 측심 물성 모니터링 기기 국산화 개발
해양 탐사 장비 국산화 개발음향 측심 물성 모니터링 기기 국산화 개발

2010년 R&D 정책 인프라 사업
과제명 : CITS 기반의 개방형 해양관제시스템 상용화 사업
기발된 CITS 기술을 활용한 국내 최초 상용화된 VTS 제품 개발시스템 안전화 및 데모 시스템 구축 개발기발된 CITS 기술을 활용한 국내 최초 상용화된 VTS 제품 개발시스템 안전화 및 데모 시스템 구축 개발